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n-3계 지방산의 안과 영역에서 새로운 기능성

전문가 제언

n-3계(오메가-3) 지방산은 혈중 지질 개선 작용, 뇌 기능 개선 작용 등의 다양한 생리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영양학적으로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으로는 알파-리놀렌산(ALA),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등이 있다. 또한, n-3계 지방산은 부족하면 피부염 등을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보고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n-3계 지방산의 새로운 기능성을 찾아내기 위하여 n-3계 지방산 섭취를 통하여 안구건조증과 안정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임상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받은 n-3계 지방산인 EPA 및 DHA 함유 유지는 원재료가 식용 가능한 어류 및 조류, 바닷물범이며, 기능성분 함량은 EPA와 DHA 합으로서 어류 유래 원료는 180mg/g 이상, 바닷물범은 120mg/g 이상, 조류는 300mg/g 이상 함유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최종제품은 혈중 중성지질 개선·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고, 일일 섭취량은 EPA와 DHA의 합으로서 0.5∼2g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가 섭취하는 식단에는 n-3계 지방산의 섭취는 부족하기 쉽고 n-6계 지방산은 과잉 섭취하기 쉽다. n-6계의 과잉섭취는 오히려 혈압을 높일 수 있으므로 어느 정도 제한하는 것이 좋다. 한국영양학회, 보건복지부 및 식약처에서 공동 발간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지질 중 n-6계 지방산을 4~8%, n-3계 지방산을 1% 내외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n-3계 지방산은 등푸른생선, 들기름, 올리브유, 포도씨유 등 식용유와 견과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건강 증진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지방산은 균형이 있게 섭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지방의 섭취량 전체를 적절한 양이 되도록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육류 등 동물성 지방질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
Fuminori KAWABA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23(1)
잡지명
脂質營養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7~21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