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직과 장기의 3D 바이오인쇄

전문가 제언

 

3D 인쇄 기술은 3차원 스캔이나 3차원 모델링을 통하여 얻은 디지털 데이터를 적층가공 방식으로 제작하는 가공기술이다. 최근 미국, 일본, 유럽 등 제조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반/응용 기술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어 시작품 제작 뿐 아니라 각종 산업 현장에서 직접 활용되는 기능성 부품 생산에도 활용되고 있다.

 

2000년 초에 개발된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기술에 열가소성 생체적합성 고분자 물질을 적용하여 조직공학용 인공지지체를 직접 제작하면서 3D 바이오인쇄 기술이 복잡한 조직과 장기의 제작에 대단히 적합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조직공학용 지지체 외에도 비교적 인체 위험성이 적은 맞춤형 의족, 치과 보철, 바이오칩의 제작에서 인체에 직접 사용될 수 있는 인공 혈관과 장기에까지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3D 바이오인쇄 연구는 한국과학기술원의 (고)박태관 교수를 비롯하여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팀,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과 서갑양 교수 팀, 조선대학교 기계공학과 김근형 교수 팀 등, 3D 바이오인쇄 기술을 활용한 인공장기의 제작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앞으로 3D 바이오인쇄 분야 연구에서 생리학적으로 연관된 재료물질과 세포를 다루기에 적합한 인쇄기술, 분해능/속도의 제고 같은 하드웨어 기술 뿐 아니라 조직 및 장기 제작에서 요구되는 기능적/기계적, 그리고 바이오인쇄기에 적합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복합적인 재료물질의 개발/연구, 등이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조직 및 장기의 3D 인쇄를 위한 세포의 선택은 제작된 구축물의 기능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므로 조직/장기에 존재하는 불균일한 세포 형들에 대한 보다 생리학적/의학적 연구가 반드시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Sean V. Murphy and Anthony Atal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32(8)
잡지명
Nature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773~785
분석자
엄*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