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기술에 의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
- 전문가 제언
-
○ 시각장애인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백색 지팡이(White Stick)는 지상의 부유장애물에 대한 감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행중인 시각장애인에게 현재 위치정보와 응급상황 발생 시 효과적인 보호 조치를 제공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 예루살렘의 Hebrew대학의 아미르 아메디 박사는 실내 환경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지팡이와 사용자의 주변과 접촉 필요 없이 더 넓은 각도와 거리(약 5m)에서의 정보를 부가할 수 있는 전자백색지팡이를 디자인 하였다.
○ 일본고베의 RFID 지팡이 시스템 역시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위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RF지팡이를 RFID TAG가 내장 된 보도블록에 근접시키면 TAG ID No.가 RF지팡이와 PDA(무선 Network)를 경유해 PHS 이동 통신망을 통해 국토지리원 서버(Server)로 전송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시각장애인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을 할 수 있는 사물지능통신(M2M : Machine-to-Machine) 기반의 지능형 보행보조시스템을 제안한 연구도 있다.
○ 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보행보조지팡이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보행보조지팡이 사용자를 원격 지원하는 서버로 구성된다. 보행보조지팡이는 초음파센서와 문자-음성 변환기술 등을 이용한 장애물 감지 및 인지가능뿐만 아니라, 서버에서 제공하는 지리정보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장치 등을 이용한 현재위치 알림 및 확인, 위급상황 대처 기능 등을 제공한다.
○ 보건복지부의 장애인 등록 현황 자료에 의하면 2013년 12월 31일자로 국내 시각장애인은 253,095 명이다. 이들의 안전보행과 생활에 편의성 제공을 위해 보다 발전된 연구에 정부와 기업이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 저자
- Fernandes, H, Vitor Filipe, Paulo Costa, Joao Barros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27()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8
- 분석자
- 심*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