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제품의 리사이클성과 세계 철강축적량
- 전문가 제언
-
○ ??산업의 쌀??이라고도 불리우는 철강재료는 우리 생활에서 불가결한 재료일 뿐 아니라 전자, 자동차, 건설, 조선 등에 중추적인 소재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철강재료의 누적축적량을 통계치로 공표하고 있고 나아가서는 소비되는 철강스크랩과 노후스크랩의 양적 순환을 나타내는 철강순환도를 작성하기도 한다.
○ 국내의 철 스크랩은 예로부터 고철수집상으로부터 광범위하게 회수되었고 적정하게 재활용되어 사회적인 철강순환이용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특히 철강산업은 국가전체 에너지소비의 약 1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 산업이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문제가 글로벌과제로 대두된 가운데 철강재료 리사이클링은 에너지 소비량을 1/3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온실가스배출을 크게 삭감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철강산업의 주요 부산물인 철강슬래그는 막대한 양이 산출되고 있다. 국내에서 나오는 제강슬래그는 1,700만 톤(전세계 4억 톤)이며, 이것은 국내의 국토면적이 협소한 환경에서 천연골재의 대체재로 활용하면 유익할 것으로 보여 진다.
○ 국내의 누계철강축적량은 국내경기에 민감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국내의 철강제품수요가 커지면 그에 따라 국내철강축적량이 적어지고, 그 반대로 철강수요가 감퇴하면 철강축적량이 증가되어 자급도가 높아지고 스크랩의 수입의존도가 감소하게 된다. 자원의 해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철강축적량은 안정적으로 운용하여 간헐적으로 밀려오는 자원파동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 금속축적량의 추계는 한국과 일본이 모두 금속소바량으로부터 추정하고 있다. 국내 발간된 철강통계연보에 의하면 2009년도 철강누계축적량은 522,212천톤으로 되어 있고, 동 년도 철강소비량은 47,339천톤의 약 11배에 달하는 데이터가 나와 있다. 그러나 금속 특히 철강축적량의 통계의 신뢰성향상과 리사이클링의 향상을 위해서는 수준 높은 통계가 나와야 할 것이다.
- 저자
- Nobuhiko Takamatsu, Kimitoshi Yonezawa, Hironori Ueno, Wakana Tamaki and Seiichi Hay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100(6)
- 잡지명
- 鐵と鋼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40~749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