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전분의 기능성과 식품에 이용
- 전문가 제언
-
○ 기장은 국내에서 거의 재배되고 있지 않는 밭작물이지만 그러나 수십 년 전만하여도 고온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 때문에 구황작물로 재배된바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능성 성분 때문에 식품제조의 소재로서, 기장가루와 전분 그리고 전분을 변형시킨 변성전분에 이르기까지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기장전분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가지고 있는데, 그 효능을 보면, 동맥경화를 예방하여주고 혈관을 강화하여주며, 뇌출혈 예방, 당뇨 예방과 치료, 정장작용, 신장보호, 혈당조절, 해독작용과 같은 다양한 질병에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다고 한다.
○ 기장은 주로 인도에서 전 세계 총생산량의 40%을 차지하고 있는데, 다른 곡물에 비하여 저렴한 편으로서 국내에서도 값싸게 수입하여 식품재료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중소기업에서 원료를 구입하여 가루, 전분 또는 변성전분으로 만들면 국내 식품산업계에서도 그 수요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 기장전분은 동결-해동 안정성이 옥수수나 밀 전분보다는 훨씬 안정하고 글루텐 함량이 밀보다도 훨씬 낮아서 요즘 문제되고 있는 글루텐에 대한 과민성 때문에 영양소 흡수불량을 일으키는 복강병(celiac disease) 환자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기장전분을 이용한 식품가공품으로는 기능성 혼합 분, 떡, 제과, 술, 엿, 기능성 죽, 주정, 식이섬유 음료 등과 같은 것이 있다.
○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기장전분의 기능성이나 이용관련 연구가 전혀 수행된바가 없다. 따라서 국내 식품관련 연구소나 대학에서는 식품제조 중소기업을 위하여 최근 건강식품 식재료로 관심을 끌고 있는 기능성 기장전분이나 변성전분을 활용하여 우리 구미에 맞는 가공식품의 개발에 관련된 연구는 시기적으로 대단히 필요하다고사료된다.
- 저자
- Fan Zh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64()
- 잡지명
- Food Research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00~211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