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A 커버리지 강화
- 전문가 제언
-
○ 이동통신 서비스에서 스마트-폰 사용의 급격한 확장으로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를 수용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LTE/ LTE-A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다양한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트래픽 수요와 달성되어야 할 시스템 용량 사이의 격차를 해소하는 데는 상당한 도움이 되었으나 사업자에게 매우 중요한 성능인 LTE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 이 기고에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LTE 커버리지를 강화할 동기를 설명한다. 링크 할당분석을 통해 링크 및 채널을 제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LTE 커버리지 강화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을 포괄적인 방식으로 설명한다. 이 기고는 LTE/LTE-A 시스템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한 실용적인 방식 설계에 통찰력을 제공한다.
○ 국내 휴대폰은 초기 AMPS 방식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2000년대 초반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3G)인 WCDMA 방식이 상용화되면서 영상통화와 고속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는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4G)인 LTE/LTE-A 방식이 상용화되어 있고 기능이 더욱 향상된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다.
○ 미래창조과학부 통계에 의하면 2014년 12월 기준 이동전화 가입자는 5,720만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그 중 스마트-폰은 4,056만 명이 가입되어 있다. 대한민국 국민 대다수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미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이동통신의 궁극적인 목표가 ‘언제’ ‘누구에게나’ ‘어디서든’ 통신이 가능하게 함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재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전국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데는 미흡한 실정이다. 통신 3사 사업자의 LTE/LTE-A 커버리지 확장 노력에 긍정적 시선을 보내지만 보다 촘촘한 커버리지와 양호한 통신품질 확보 측면에서 본고의 내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Yifei Yuan, Zhisong Zuo, Yanfeng Guan, Xianming Chen, Wei Luo, Qi Bi, Peng Chen, and Xiaoming Sh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52(10)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53~159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