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전자 발현에서 RNA가 매개하는 후생유전적인 조절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RNA는 주로 mRNA의 주형(template) 역할, 아니면 tRNAsribosomal RNAs에 의해서 단백질을 생성하는 과정에 구조와 적응기(adaptor)의 역할로만 생각했다. 그러나 RNAs의 촉매역할과 다양한 비-코드 RNA(ncRNA) 종이 알려지면서 RNA는 세포에서 아주 다양한 조절기능을 하는 분자로 이해된다. RNA 모티브 시퀀스 인식을 가이드로 작용하기도 하고 비계(scaffold)로도 작용하며 단백질을 보충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플랫폼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RNA가 전사를 감독하고 전사를 침묵시키는 메커니즘은 유전자 시퀀스에만 이존하지 않는 자체적인 수정과정으로 후생유전에 중요한 역할로 생각된다.

 

-코드RNA는 작은 RNA(small RNA)에서부터 긴 RNAs((lncRNAs)까지 다양한 종류의 RNA가 유전자발현을 조절하는 키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유전체의 안전과 외부의 유전적인 요소들의 침입을 방어하는 역할도 한다. 작은 RNAs는 염색질구조의 변형과 전사를 침묵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미숙한 RNAArgonaute와 상호복합체를 만들어 거기에 히스톤과 메틸전환효소를 보충하여 수행한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작은 RNAs와 관계없이 lncRNAs가 독립적으로 chromatin-변형복합체에서 지지체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전사 후 유전자조절(PTGR)은 주로 RNAs와 관련된 사건으로 단백질을 생성하든 안하든 이들의 이동, 성숙, 안전과 번역에 연관된 과정에서 일어난다. 여기에는 RNA-결합 단백질(RBPs)과 리보핵 단백질이 RNA공정과 DNA의 메틸화, 염색질 수식 같은 PTGR은 후생유전의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세대 시퀀싱과 단백질 질량분석방법의 발달로 PTGR과 여기에 관여하는 단백질 인자를 시스템생물학적으로 연구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MicroRNA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도 많은 관심과 그 적용에 대해서는 좋은 결과를 내고 있다.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RNA와 그와 연관된 단백질의 분석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를 위한 차세대 시퀀싱과 질량분석을 통한 데이터베이스와 플랫폼이 요구된다.


저자
Daniel Holoch and Danesh Moaze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16()
잡지명
Nature Reviews Gene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1~84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