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 하이드레이트 개발과 매장량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메탄 하이드레이트로 알려진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영구 동토나 차가운 해저에서 장기간에 걸친 높은 수압으로 생기는 고체 에너지원으로 박테리아가 동물의 유해나 식물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된 메탄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21세기의 새로운 청정에너지원에 속하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세계적인 매장량은 21,000조㎥로 전체 천연가스 매장량의 약 100배에 해당된다. 이중에서 10%만 이용한다면 약 60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 미국, 일본을 비롯한 여러 선진국에서는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자원화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1982년부터 본격적으로 하이드레이트에 관한 기초연구에 착수하였으며 1998년 과학기술재단에서 첫해 500만 불에서 2000년부터는 하이드레이트 개발지원을 위한 특별법까지 제정해 5년간 4,750만 불의 연구비를 투자하여 2015년에는 상업적 개발을 목표로 하는 중장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도 자국 내 해역에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탐사를 통한 부존확인 및 국제학술회의를 주관하는 등 적극적인 기술개발 의지를 보이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11년 미국과 일본, 인도, 그리고 중국에 이어 다섯 번째로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실물 채취에 성공했다. 국내에서는 1995년부터 국책연구소를 비롯한 일부 대학에서 하이드레이트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어 기초연구 및 탐사를 수행한 바 있으며,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약 30억 원을 투자해 동해 전 해역에 대해 가스 하이드레이트 기초 탐사가 수행되어 수심 약 1,000m 이상의 동해지역에서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지역적으로 편중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골고루 넓게 펴져있다. 그러나 대부분 심해나 추운 동토에 있는 미고결층에 존재함에 따라 개발에 따른 미고결층 붕괴나 해저 붕괴 위험이 있을 수 있고, 가스 하이드레이트가 해리될 때 다량의 메탄가스가 배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도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 저자
- Shyi-MinL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84~900
- 분석자
- 마*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