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치료 표적으로서의 비-접힘 단백질 반응
- 전문가 제언
-
○ 비-접힘 단백질 반응(unfold protein response; UPR)은 진화적으로 보존된 세포방어 반응으로써, 세포로 하여금 소포체스트레스(ERstress)에 적응하게 해준다. 즉 UPR은 각각 독립적인 3종류 축(ER 관통막 단백질인 PERK, IRE1 및 ATF6)의 신호경로를 통해, 일반적 단백질 번역 저지와 세포생존을 일으키는 특이 인자들의 유도를 이끌며 스트레스가 너무 강할 때는 세포죽음을 매개한다. 그런데 암세포들에서는 그 미세환경 부위들 내의 산소와 영양소들의 부족이 ER스트레스를 일으키므로, 이것이 암세포들로 하여금 생존을 위해 UPR을 유도한다. 또 임상에 사용되는 일부 항암 치료제(법)들이 치료-유도성 ER스트레스를 일으켜 UPR-의존성을 더 촉진시킨다. 따라서 UPR은 암 치료에 대한 하나의 좋은 표적이 될 수 있다. 이 리뷰는 UPR에 관여되는 인자들이 어떻게 종양세포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UPR 방해에 의한 암 치료 전략에 대한 최신 정보들을 살펴본 것이다.
○ 연구자들은 정상 세포에서의 UPR 신호변환 분자들의 작용기전과 종양에서의 UPR-신호들과 항암 치료 표적 가능성에 관한 현재까지의 학술정보들을 리뷰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연구자들은 UPR 방해를 통한 암 치료법으로, ① ER스트레스를 약리적으로 활성화시켜 UPR의 수용능을 과부하시킴에 의한 암세포 죽음을 이끌게 하는 것과 ②UPR 자체를 약리적으로 저해함으로써 ER스트레스 동안 UPR이 제공하는 생존 이득의 제거를 이끌어 결과적으로 암세포의 죽음을 이끄는 전략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전략에 대한 앞으로의 해결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 UPR에 의한 세포들의 항상성 유지 기구에 관한 것과 항암 치료 전략으로서 UPR-신호들 표적에 관한 것은 최근에 알려진 학술이론들로서, 국내의 생명과학 분야 관련 연구자들 중 소수의 연구자들이 이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국내의 대학들과 연구소들에서 기초생물학과 의?약학 분야 연구자들에게 본 연구 정보는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Anika Nagelkerke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4
- 권(호)
- 1846()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77~284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