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빅 데이터의 통합 활용을 위한 과제와 기술

전문가 제언

  빅 데이터로 상징되는 것처럼 웹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SNS)을 필두로 매일 대량의 디지털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수집, 축적, 관리는 물론 기존과는 비교되지 않는 데이터 량에 적합한 빠른 분석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 분석된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 공유기술과 데이터 공학기술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빅 데이터를 데이터 공학기술에 의하여 다양하게 분석함으로써 이로부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빅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데이터 공학 분야 관점에서 빅 데이터의 과제는, 증가하는 데이터의 축적·관리, 대용량 데이터의 효율적인 처리, 다양한 데이터에서 가치 있는 콘텐츠 추출,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여러 데이터를 통합 처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정제와 통합기술이 필요하며 또한 많은 비용이 든다. 그리고 데이터에서 유용한 결과를 찾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조합하여 얻은 결과를 평가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과제 중 하나이다.


  최근 국내 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빅 데이터 활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국내 기업의 82%는 빅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빅 데이터 기술은 선진국보다 2년 이상 뒤져 빅 데이터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절실하다. 지난 수년간 빅 데이터가 큰 화두였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빅 데이터 활용은 초기 수준에 머물고 있다. 다수의 기업이 빅 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으나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를 잘 모르고 있는 실정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은 국내 기업이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빅 데이터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시작할 시점이며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추진해야 한다. 먼저 기업은 국내외에 빅 데이터를 잘 활용하고 있는 기업을 벤치마킹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다음으로, 기업에서 가장 핵심적인 분야를 선정하여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며 그 효과를 확인한 후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사내에 축적된 정형화된 데이터를 우선 활용하는 등 빅 데이터 추진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Nakano Miyu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97(5)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43~347
분석자
신*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