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PD 기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게임기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은 WPD 컴퓨팅기기를 통해 이동성이 보장되는 네트워크 게임을 서비스하는 것이다. 특히 WPD 컴퓨팅기기는 몸에 착용한 상태로 탄력적인(유연한) 클라우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점과 주변기기를 통해 게임서버 및 멀티미디어 서버와 통신링크를 구성하여 데이터서비스도 가능한 기술적 가치가 있다.
○ 이 기술의 핵심인 WPD형 클라우드 게임서버와 멀티미디어 게임서버는 연결된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플렉시블 클라우드 네트워크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3G 이동통신시스템 이후부터 국내 산업계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네트워크 게임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결합한 대표적인 융합기술이다. 이는 교육/의료/군사/보안 등 국내 기능성 게임(serious game) 산업 활성화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국내 관련 산업계의 밴치마킹이 필요하다.
○ 대표적인 클라우드 게임 사례로 2010년 6월에 출시된 OnLive가 있다. 이는 게임콘텐츠를 서버에 저장하여 GaaS(Gam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이를 통해 고사양(high-end)의 PC나 콘솔 대신 캐주얼 게임을 이용하고 있다. 클라우드 게임의 경우 게임콘텐츠를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법복제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용량의 저장 공간도 필요 없기 때문에 점차적으로 온라인 게임 시장의 주력 사업모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12년경부터 스마트 미디어기기의 대중화, 4G-LTE 서비스 및 SNS 확산 등으로 인해 모바일게임이 게임 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급부상하면서 온라인(네트워크) 게임에 치우쳐 있던 게임 산업의 집중도를 분산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 게임 산업은 2011년이후부터 연평균 89.1%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모바일게임 업체의 실적 증가와 아울러 신규 모바일게임 업체들이 부상하고 있다. 이에 2015년 1조8,700억 달러의 대규모 글로벌 E&M(Entertainment & Media) 시장 선점을 위한 문화산업 증진전략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ZHOU, Tiger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32192
- 잡지명
- WO2014132192 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4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