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수지 글레이징의 개발과 과제

전문가 제언

최근 투명 판유리 대체로서 경량 비파쇄성 투명 수지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플라스틱 기재,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은 투명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여 글라스 대신 구조부재로서 차량 등의 창이나 계기커버 등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 플라스틱 기재는 글라스에 비하여 내상처성, 내후성 등 표면특성이 떨어져 이를 개량할 필요가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성형품의 내상처성을 개량하는 방법으로서는 수지기재의 표면에 폴리오가노실록산 등 열경화성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내후성을 개량하는 수단으로서는 표면을 내후성이 우수한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한 수지층으로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수지 기재의 표면에 고경도와 내상처성의 부여를 목적으로 한 표면보호 도막을 형성하는 코팅제로서 오가노실란을 가수분해 혹은 부분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조성물 또는 이 조성물에 콜로이달실리카를 혼합한 코팅제가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자동차용 수지 글레이징의 개발과 과제에 대하여 해설하고 있으며, 특히 투명 창 재료 및 창틀 재료와 같은 수지재료 기술, 사출압축성형, 2색성형과 같은 성형가공기술, 2색성형의 과제와 예측기술 및 플라스틱 글레이징의 단열효과와 방운효과에 대하여 해설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우리엠텍과 태형이 자동차 유리용 플라스틱 글레이징의 사출압축성형장치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고 있고, 제일모직이 비페닐기를 함유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이용한 플라스틱 글레이징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그러나 원료 측면에서 폴리머의 내상처성이나 내후성을 개량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앞으로 화학관련 기업에서 폴리카보네이트나 ABS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의 내상처성 및 내후성 개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저자
Kokubo Akihi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62(11)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2~47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