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 눈폭풍의 영향: 2013년 토론토

전문가 제언

눈이나 강우가 냉기류 폭풍을 동반하여 내릴 때 지상의 찬 기온으로 인하여 지상에 얼음 층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때 지상의 얼음 층 두께가 6mm를 초과하여 생성될 경우 이를 눈 폭풍이라 한다. 눈 폭풍은 특징적으로 얼음강우(freezing rain)의 형태를 보이는데, 이는 습도가 높은 온난전선이 상층의 찬 공기와 접할 때 생기는 현상이다. 온난 층의 강우는 얇고 차가운 층을 통과하면서 급격히 냉각되고, 이들이 지표와 접촉하면서 얼음강우가 생성된다.

 

미국의 북동부 대서양 연안과 캐나다의 동부 연안 및 오대호 주변 지역은 눈 폭풍이 자주 발원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눈 폭풍이 자주 발생하는 상기 지역 중 캐나다의 최대 도시 토론토를 대상으로 눈 폭풍의 원인과 피해, 그리고 사후 대응 방안을 조명하고 있다. 피해 사항 중 지표와 시설물에 형성되는 얼음강우에 의한 피해를 특히 강조하고 있다. 직접적인 피해인 전력 공급 중단과 대중교통 마비 등이 얼음강우의 영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매년 폭설로 인하여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이는 매년 반복되는 자연재해이지만 눈 폭풍과 같은 얼음강우에 의한 피해 상황은 특별히 보고된 적은 없다. 그러나 동해 연안을 따라 반복되어 발생하는 폭설이 얼음강우와 같은 형태로 발전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본다. 이는 최근에 빈번히 발생하는 급격한 기후변화가 어떤 예기치 않은 자연재해도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가장 참작해야할 피해는 전력과 교통수단의 마비로 판명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얼음강우의 피해는 미미할지라도 홍수, 산사태, 폭설 등의 자연재해는 자주 경험하는 나라이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자연재해가 발생하더라도 대응방안을 수립할 때 전력과 대중교통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힘쓸 것을 제언한다.

저자
Costas Armenakis and N. Nirupa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74()
잡지명
Natural Hazard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91~1298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