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Energy Management System의 확대와 가능성

전문가 제언

 

이 문헌은 IT기술을 이용하여 에너지의 이용 상황을 모니터링해서 에너지의 절약은 물론이거니와 환경과 안전 면에서의 간접적인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에너지관리제도(Energy Management System)를 확대 실시해야 한다는 일본 Tsukuba대학의 Uchiyama교수의 논문을 요약한 내용이다.

 

일본은 1997Kyoto에서 개최된 기후변동조약국회의 결과 2008~2012년 온실가스배출량을 1990년 대비 6% 삭감하기로 한 공약을 수행하였으며 그 후 또 다시 201311월에 개최된 제19차 기후변동조약국회의결과 삭감목표를 2005년도대비 3.8%삭감하기로 결정되어 이미 최고수준인 일본의 에너지효율을 20% 더욱 개선하는 의무를 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일본은 수차에 걸친 에너지관리법의 개정 및 강화를 통하여 에너지절약활동이 산업부문뿐만이 아니라 민생부문과 운수부문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서 이젠 일본에서 개발된 에너지절약기술이나 제품은 세계에서도 최고수준이 되었다. 이를 뒤 밭임 한 것이 바로 에너지관리시스템 이며 이 의하여 에너지절약은 개개의 기술뿐만이 아니라 수요에 맞는 섬세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에너지관리공단을 중심으로 에너지기기의 효율향상과 보급 확대를 위하여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대기전력저감 프로그램의 3대 프로그램 등, 에너지관리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 관리제도는 소비자에겐 에너지 효율성능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에너지기기생산업체에겐 기술개발을 촉진하여 고효율기기로의 시장전환을 가능케 해서 에너지절약과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 더욱 가시적이고 섬세한 지원을 위해 에너지관리공단 관련업체인 에너지절약전문기업체(ESCO : 록 업체 227개사)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Y UCHIYA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4
권(호)
66(1)
잡지명
省エネルギ―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1~35
분석자
차*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