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녹화에 적합한 나무 고루기
- 전문가 제언
-
○ 도시녹화는 길가 환경을 포함한 도시지역 안에 환경의 질을 증진하는 것을 최종의 목표로 하는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다. 도시녹화는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 UHI) 효과를 완화하고 미기후(특히 주변 다른 지역과는 다른, 특정 좁은 지역의 기후; micro-climatic) 조건을 조정함으로서 열적위안을 증진하고 그늘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녹화는 소음수준을 약화시키고 대기의 질을 증진하고 도시빗물을 감소하는 능력을 포함한 다른 이익을 가져올 수 있다.
○ 나무는 또한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각자의 행복을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로부터 회복을 돕는다. 추가로 나무는 심미적 즐거운 효과와 같은 다른 이익을 가져오므로 복잡한 도시지역에서 억압감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면, 빌딩 앞에 나무를 배치하는 것은 특히 더 높은 빌딩 앞에 위치하면, 환경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 나무는 도시가로의 오솔길에 장애와 같은 잠재적 짜증과 떨어진 나뭇잎 때문에 불편이외에도 꽃가루로부터 알레르기와 곤충을 긁어모으는 몇 가지 부정적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도시 거주자는 매우 긍정적이고 전반적 관념을 가지고 있다.
○ 선호되는 특징은 중앙선을 따라 심어서는 성취할 수 없는 나무수관(나무의 가지와 잎이 달려 있는 부분으로 원 몸통에서 나온 줄기; tree crowns)에 의하여 생산된 ‘덮개폐쇄효과'(canopy closure effect)를 만드는 길의 양쪽에 나무를 심는 것을 포함한다.
○ 우리나라의 도시녹화사업은 국토교통부소속 녹색도시과를 중심으로 조경(landscape architecture)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다. 조경은 인간에 의해 환경을 아름답고 가치 있게 기획, 설계, 관리, 보존, 재생하는 것이다. 조경의 범위는 조경 설계(architectural design)를 포함, 건축 용지 입안(site planning), 주택용 부동산 개발(housing estate development), 환경 복원(environmental restoration), 도심 개발 및 설계, 공원 및 오락 계획 및 설계, 문화재 보존 계획 등으로 아주 광범위하다.
- 저자
- G. Churkina, R. Grote, T.M.. Butler, M. Lawrenc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47()
- 잡지명
-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2~17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