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WHO에서 식품안전에 관한 활동

전문가 제언

세계보건기구(WHO는 보건·위생분야의 국제적인 협력을 위하여 설립한 국제연합 전문기구로서 세계 인류의 신체적·정신적으로 최고의 건강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보건 분야의 지도, 조정 역할을 하는 조직이다. 1948년 발족하여 현재 194국이 가맹하고 있으며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6개 지역 사무처, 약 150개 설치한 국가별 사무소가 있다.

WHO의 식품안전에 대한 중요한 활동분야의 하나로서 식품 유래 질환의 예방과 확대 방지라는 공중위생의 관점에서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 국제수역사무국(OIE) 등의 관련기관과 합동으로 농장으로부터 식탁까지 모든 푸드체인의 대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WHO와 FAO가 합동 식품규격 작업의 목적으로 설립된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정한 CODEX 규격은 강제적 성격을 띠는 것은 아니나 1995년 WTO 체제 하의 SPS 협정 및 TBT 협정이 발효되어 범세계적인 공통 규격으로 활용됨에 따라 중요성이 날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1949년 WHO에 가입하여 도움을 받는 국가에서 도움을 주는 국가로 지휘가 전환한 사례로 기술적, 재정적 협력 잠재력이 큰 국가로 조명되고 있다. 재정기여는 경제규모 등으로 자동 배정하는 의무분담금 12위, WHO사업에 직접 지원하는 사업 분담금은 20위 권 규모로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높아진 국가 위상에 걸 맞는 수준으로 세계 보건에 기여하고, 국제기구의 폭 넓은 네트워크, 풍부한 정보 및 전문성 등을 활용을 위하여 WHO와의 협력강화를 통하여 보건의료 뿐만 아니라 식품안전을 국제적인 수준으로 위상과 인지도 높여야 한다고 본다.

저자
Mina KOJI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64(7)
잡지명
食品衛生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14
분석자
이*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