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아시아 삼림에서 에어로졸의 건성침착

전문가 제언

건성침착이란 에어졸과 같은 입자상물질이 강수에 의하지 않고 지표면이나 삼림표면, 수면에 침착 하는 것으로 생태계나 도시 내 문화재 등에 미치는 영향 및 발생원대책 등을 규명할 때 습성침착량과 건성침착량을 구분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다.

 

에어로졸의 지표면에서의 건성침착은 난류와 같은 공기역학적인 요소와 입경에 크게 의존한다. 공기역학적인 과정을 거친 후의 침착면에 의한 에어로졸의 포집효율은 브라운 확산, 차단, 관성충동, 중력침의 강 등에 의거한 침착과 반발되는 영향과의 균형으로 결정된다. 이들 각 요소에 대한 영향은 입경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므로 입경에 따른 침착속도의 차이가 발생한다.

 

본 고에서는 계획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동아시아에 있는 삼림에서의 에어로졸 침착속도에 대한 검증과 하여 검증하고 여기에서 얻은 지식을 근거로 하여 당해 지역에서의 에어로졸 건성 침착량을 평가한다. 삼림에의 영향을 평가하는 수단의 중요 지식으로서 에어로졸의 삼림에의 건성 침착량과 엽면에서의 부착량과의 관계도 고찰되고 있다 .

 

앞으로 한국이 포함된 동아시아지역의 건성침착연구가 될 수 있도록 우리나라의 건식침착에 대한 연구조사가 필요하며, 연구에는 동아시아의 기후, 식생, 토양의 분포 등의 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 비교검토하여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산성침착에 의하여 살림의 생태계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매년 중국에서 날라 오는 황사문제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산성물질의 습성침착뿐만 아니라 건성침착을 포함하여 고려하여야 한다.

 

저자
Kazuhide MATSUDA, Hiroyuki SASE, Naoto MURAO, Izumi NOGUCHI, Tatsuya FUKAZAWA, Kentaro HAYASHI, Akira TAKAHASHI, Kentaro TAKAGI, Takashi YAMAGUCHI, Pojanie KHUMMONGKO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29(S1)
잡지명
エアロゾル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60~167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