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상수도시스템의 결함과 위장질환

전문가 제언

물을 취수, 저장, 처리 그리고 분배하는 배관망에서의 대규모 시스템붕괴가 위장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본 원고는 상수도시스템에서 일상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결함들도 수인성질병의 배경이 된다는 전제 하에, 관련 문헌에 대한 체계적 검토와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원고는 수돗물의 최종 소비처에서 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와 재처리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한 학술지를 검토하고, 배관의 물리적, 수리학적 손상과 수질의 완전성과 같은 특정의 시스템결함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고 있다.

 

위장질환인 설사병은 전 세계 어린이사망의 10% 원인이 된다고 하며, 의료비지출, 근로일수감소 등의 사회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질병부담은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에서 공히 안전하지 못한 식수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식수가 원인으로 작용하는 설사병은 수원, 상수처리시설, 분배시스템 그리고 최종 소비처인 가정에서의 물 오염에서 발생한다. 물이 상수처리시설에서 수질기준에 맞게 관리되었다고 하더라도 소비자에게 도달하기 전 분배네트워크에서의 오염이 문제가 된다.

 

배관의 손상, 단수, 부적절한 잔류물농도 등 특정 시스템의 결함이 위장질환 위험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급수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수돗물이 고유의 위장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를 본 원고는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물 공급과 위생시설에도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의 개선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통합 수자원관리시스템의 확립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수인성질병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환경보건기술에 관한 연구과제들을 발굴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Ayse Ercumen, Joshua S. Gruber, John M. Colford J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4
권(호)
122(7)
잡지명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651~660
분석자
윤*량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