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온실가스배출
- 전문가 제언
-
○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및 폐기물에너지 등의 신재생에너지는 미래에 지속가능성이 있는 에너지자원으로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이 가능하여,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전기와 열 이용에 수반되는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LCA 도구의 라이프사이클 온실가스배출량 분석이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 신재생에너지 산업분야에서 장기적이고 총합적인 환경영향 평가방법으로 LCA도구가 이용되며, 재료 사용과 제조단계에서 배출되는 환경부하 및 소정의 라이프사이클이 지나서 폐기 될 때에 환경부하도 평가한다. LCA도구를 신재생에너지이용시스템에 적용하여 시설과 시스템의 처리에 따른 환경부하 배출뿐만 아니라, 경계조건, 관련시설 건설비용 분석 등의 환경부하 배출량에 총합적 파악과 정리로서 보다 환경부하가 적은 신재생에너지이용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우리나라는 500 MW 이상의 발전시설사업자의 총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일정비율이상 차지하도록 하는 신재생에너지의무할당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를 도입하여, 2012년 2% 부터 시작해서 2022년에 10%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를 계획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현재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3.5% 정도이고,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보급비율은 약 19.7%로서 우리나라는 보다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개발과 투자를 수행하여 온실가스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자급비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 바이오매스에너지 LCA 대상은 자원 작물, 미 이용바이오매스 및 폐기물바이오매스 등이며, 조사대상범위는 에너지 수지검토, 에너지이용가스화, 직접연소발전, 액체연료 등이다. 조사의 지리적 검토범위는 국가, 지역, 시설 등이며, 기능단위는 단위 바이오매스 처리량, 단위 연료량, 단위열량 등이며, 대상부하물질은 CO₂이고, 환경영향평가는 CO₂인벤토리 분석과 지구온난화계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 산출의 경우가 많고, 라이프사이클 비용(LCC:Life Cycle Cost)분석도 수행되고 있다.
- 저자
- Nana Yaw Amponsah, Mads Troldborg, Bethany kington, Inge Aalders, Rupert Lloyd Houg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39()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61~475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