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 Vietnam Nha Trang 대륙붕의 후기 플라이스토세-홀로세 탄성파 층서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에서는 좁고, 경사가 가파른 대륙붕을 이루는 중부 Vietnam Nha Trang 대륙붕의 후기 플라이스토세-홀로세 층서구조를 고 해상 탄성파자료 및 퇴적층 코어자료 등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에 대한 순차층서 분석 결과는 5개의 주요 탄성파 단위 층과 3개의 경계면 및 2개의 서로 다른 씨퀀스를 보여 주었다. 이들 씨퀀스는 서로 다른 해수면 변화에 의해 형성된 2개의 광역 부정합면(SB1, SB2)에 의해 경계된다.
○ 수심 약 130m에 존재하는 잔류 해빈-리지 층(relict beach-ridge deposits)은 연구해역 내의 마지막 빙하기 저수면 층(Last Glacial Lowstand; LGM)퇴적 시 해수면이 주위보다 더 낮았다는 것을 지시하며, 이는 높은 퇴적율 때문에 야기된 지각침강작용 또는 Vietnam 동부 단층계의 신기 구조운동 때문에 결과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후기 플라이스토세의 긴 4차원(fourth-order) 및 짧은 5차원 사이클을 갖는 큰 진폭의 해수면 변화가 Nha Trang 대륙붕 씨퀀스 형성의 주요 요인으로 해석하였다.
○ 또한 퇴적물의 공급 변화, LGM의 지형적 변화, 기반 침강 율, 수력학적 조건 등과 같은 다른 국부적 요소가 Nha Trang 대륙붕 순차층서모델이 이웃하는 다른 지역과 다른 변별적 특징을 제공하였다.
○ 탄성파 퇴적학은 시추공 검층자료, 코어자료, 탄성파 상 자료 종합분석에 근거해서 퇴적상 구조분석을 하는 새로운 개념의 학문분야이다. 순차층서분석은 노두, 검층 및 코어연구에 유효한 방법이다. 특히 한국의 해양분지는 석유탐사를 목적으로 상당량의 탄성파탐사를 주로 한 지구물리탐사가 수행되었으나, 시추공은 천연가스가 생산되는 울릉분지에는 다수 존재하나, 다른 해양분지에는 시추실적이 거의 없다. 순차층서학과 고 해상 층서분석은 우리나라의 해양 석유탐사를 위한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 판단되어 적극 이용이 요구된다.
- 저자
- Bui Viet Dung, Karl Stattegger, Nguyen Trung Thanh, Phung Van Phach, Tran Tuan Dung, Bui Xuan Tho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58()
- 잡지명
-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789~800
- 분석자
- 박*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