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인공습지 관리방안
- 전문가 제언
-
○ 저농도의 폐수를 저비용으로 처리하는 인공습지가 국내외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인공습지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인자는 식물종과 기층이고, 이를 운전하는 과정에서는 수심, 수리학적 부하, 체류시간과 운전모드 등이 중요한 인자이다.
○ 주요하천이 상수도원이지만 하, 폐수가 방류되고 있으므로, 부영양화와 녹조를 예방하기 위해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점오염원에서 발생한 폐수는 발생장소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인공습지에 의한 처리는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한 폐수를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약 70%를 하수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하수를 처리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하수처리시설이 설계기준보다 빈부하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처리수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다.
?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활성슬러지 처리만으로 항상 우수한 처리수질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국내에서도 활성슬러지운전의 최적화에 의해 주요하천의 수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 국내에서도 영산강, 섬진강을 비롯해서 충남 당진군의 석문호수에 소규모의 인공습지를 조성했고, 2010년에는 경안천에 1일 4만 톤 처리용량의 대규모 인공습지가 조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습지의 처리수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심, 기층관리 및 식생교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장기간에 걸쳐 운전관리기술이 정립되어야 하고 이러한 내용이 설계에 반영되어야 한다.
? 동절기에 수온저하로 발생하는 탈질효율저하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뿌리가 깊고 산소전달률이 높은 유지수목을 인공습지에 식재하거나 처리수의 반송비율을 높이는 등 별도의 대책이 필요하다.
- 저자
- Haming W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75()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94~601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