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내 치료용 CO전달을 위한 CO-방출 분자
- 전문가 제언
-
○ 분자생물학 및 나노기술의 빠른 발달로 약품전달시스템(DDS)과 질병치료연구는 가히 혁명적이라 하겠다. 일산화탄소(CO)는 생리적 및 병리적 조건 하에서 다중 방어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인정된 치료적 분자로 알려진 이후 진단 및 치료의학에서 제어된 CO전달을 위한 약품으로 CO-방출분자(CORMs)사용이 연구되고 있다. 흡입가스로 CO이용에 대한 안전과 가능성은 이에 대한 독성지식부족으로 아직 불확실하다.
○ CORMs을 위한 다양한 유기금속 착물을 포함한 여러 분자가 보고되었고 이들 착물은 많은 질병의 동물모델에서 CO가스의 유익한 치료적 효과를 확인 되었지만, 아직 임상실험을 위해서는 양물동태학적 평가와 분석이 부족하다. CO가스의 치료의학적 활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에서 CORMs의 반응성의 관찰은 물론 체내에서 CO의 정량적 분석을 통한 약물독성에 대한 정확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 대학과 연구소에서 정부지원을 받아 금속나노입자(NP)를 이용한 저분자 검출비색 센서나 금속NP를 이용한 광학센서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직 실험실 환경에서만 개발되었기 때문에 비교적 저가이고 고품질규격의 정확한 생채 내의 센서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진단치료의학에서 임상실험을 위한 형광성의 탐침과 항체-기반의 바이오센서 표지를 이용한 분석 및 영상학적 기술의 상용화가 요구되고 있다.
○ 약물전달시스템(DDS)에서는 약물치료의 유효성, 안전성,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약물투여형태 및 체내 동태를 제어한다. CORMs는 약물분자로 하여금 의도하는 질병자리에 도달하도록 CO방출조절이 중요하며 CO의 질량분석에 의한 생체독성분석 등의 DDS연구가 필수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CORMs는 전이금속 카르보닐 착물로서 CO가스처방에 중요한 결점인 헤모글로빈에 의한 산소이동 영향을 피하여 동물 질병모델에서 유익한 치료효과를 얻었다는 것은 이의 활용을 위한 대단한 발전으로 믿어진다.
- 저자
- Sandra Garca-Gallego and GonAalo J. L. Bernarde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53()
- 잡지명
-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712~9721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