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의 비생물적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대사체 연구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이 고찰 논문은 비생물적 스트레스 반응의 대표적인 예로 훌라보노이드에 중점을 두어 비생물적 스트레스 반응으로 분화된 대사체의 기능을 이해하고 관련된 유전자를 동정하는 최근의 연구 동향 및 기술의 발전에 대해 조명하고 있다.

 

식물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2차대사산물로 색소의 하나인 훌라보노이드는 여러 가지 생물적,비생물적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국내에서도 여러 가지 식물 및 작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그러나 새롭게 등장한 대사체학 특히 통합대사체학을 이용하여 대사경로 및 유전자를 동정하는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식물은 생물적,비생물적 스트레스같은 환경 스트레스에 적응하기위해 2차대사산물로 불리는 특별한 대사산물을 생합성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비생물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이 분화된 대사산물의 대부분은 기내에서 특징적으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나 생체내애서의 기능은 대부분 실험적으로 확인되고있지 않다.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대사산물의 축적과 더불어 비생물적 스트레스가 다양한 종류의 대사산물의 생산을 유도한다.이들중에서 사포닌,글루코시놀레이트,페놀아마이드,페닐프로파노이드,아스코르빈산,글루타싸이온,알파토코페롤,프로라인같은 아미노산,,캐로티노이드,quinic산 유도체(chlorigenic ) 그리고 훌라보노이드가 기내(in vitro)에서 항산화 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통합된 ‘omics’분석으로 훌라보노이드가 생체내에서 일어나는 항산화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또한 액포에서의 훌라보노이드의 역할도 암시하고 있다.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지금까지 알려지지않고 있는 분화된 많은 대사산물과 그들의 생체내 기능을 동정하기위해서는 빠르게 발전하고있는 대용량(high-throughput) 분석기술을 이용한 화학적,생물학적인 도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Ryo Nakabayashi and Kazuki Sa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4()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16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