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분(수증기) 차단성 다층 접착제 필름
- 전문가 제언
-
○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유기태양전지, 박막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은 미량의 수분(수증기)에 의해서도 특성의 열화가 일어나기 쉽다. 특히, OLED의 경우는 극미량의 수분에 의해서 열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수분 차단성의 요구수준이 매우 높다. 그러나 종래의 캡슐화 및 패키지 기술들은 전자 디바이스를 수분으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 이 발명은 수분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전자소자의 캡슐화 또는 봉지하기 위한 다층 차단성 접착제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발명의 다층 차단성 접착제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분 차단성 필름 층이 2개 이상의 접착제 층 사이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특허 청구권 범위를 보면, 이 발명은 이미 상품화된 화학제품과 공지의 라미네이트 기술 등을 활용한 기술로서 신규성보다는 창의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허권 침해문제를 회피하여 참고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근년 국내에서도 기체 및 수분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 물질에 대한 개발연구가 많이 추진되고 있다. LG화학에서는 2012년 8월 23일에 ‘OLED 디스플레이용 수분 차단성 변성 에폭시계 다층 접착필름 소재 기술’로서 신기술(NET) 인증을 받은 바 있고, 또한 세계특허로서 WO 2012/060621 A2(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방법‘, WO 2013/07384 A1(접착 필름) 등 다수의 특허를 확보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도 WO 2011/087301 A2(기체 및 수분 차단용 그래핀 보호막, 이의 형성방법 및 그의 용도’ 등의 특허를 가지고 있다.
○ 향후 전자기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기의 경량화, 소형화 및 박막화는 더욱 진전될 것이며, 특히 전자기기의 충분한 수명연장과 성능을 보호하기 위한 소재기반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차단성이 높은 필름(high barrier film)의 개발이 필연적이다. OLED와 같은 전자소자의 경우에는 제품으로서 충분한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차단성 필름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에 대응한 수분 및 기체 투과도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기술의 확보도 필요하다.
- 저자
- Henkel IP & Holding GMBH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90151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4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