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차단성 필름(high barrier film)의 투습도 평가

전문가 제언

근년 플렉시블 일렉트로닉스의 진전에 따라 표시소자용 기판소재에 대한 소형화, 박막화, 경량화, 유연성 등이 요구되어 유리 기판을 대체하기 위한 소재로서 플라스틱 소재의 개발이 활발하다. 그러나 전자소자의 경우, 미량의 수분에 의해서도 특성의 열화가 일어나기 쉽다. 특히, 소자 사이즈가 작은 OLED의 경우는 극미량의 수분에 의해서 열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수증기 차단성의 요구수준이 매우 높은 현상이다.

 

이 글에서는 차단성 필름의 발전 경위를 요약하고, 특히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 등, 전자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수증기의 차단성이 높은 필름이 요구됨에 따라 필름의 성능평가에 있어서 투습도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각종의 투습도 측정장치에 대한 원리 및 성능을 해설하고 있다. 차단성 필름의 개발 연구자들은 이 글에서 제시한 투습도 평가 시의 주의할 점을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국내 연구기관들은 필름의 투습도 측정장치에 대한 고안에 대해 많은 노력을 집중하고 있는 한편, 미국 MOCON사의 투습도 및 가스 투과도 시험기가 식품 포장재는 물론 디스플레이 소재, 태양전지 소재 등으로 적용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장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투습도 측정에 주로 사용되는 시험방법으로는 KS M ISO 15106-1(습도 감지 계기법), KS M ISO 15106-2(적외선 감지 계기법), KS K 0594(섬유제품의 투습도 시험방법) 규격과 KS K ISO 11092 규격에 따른 핫플레이트 시험법 등이 있다.

 

플렉시블 전자소자 및 인쇄소자의 기술발전을 위한 필수기술의 하나는 이들 소재기반을 수증기로부터 보호하는 차단성이 높은 필름(high barrier film)의 개발을 들 수 있다. 유기EL 소자의 경우, 제품으로서 충분한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증기 투과도가 10-5g/(㎡?24h) 미만으로 되는 고차단성 필름이 요구된다. 즉, 이것은 10-5g/(㎡?24h) 미만의 수준으로 수증기 투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 향후 전자소자나 태양전지 등의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고차단성 소재의 개발과 함께 고도의 측정기술이 확립되어야 한다.

 

저자
H. Mase, K. Takehi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63(1)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3~37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