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천연물을 사용한 저염식품의 평가시스템

전문가 제언

맛의 감지를 인식하는 미각 수용체는 미뢰내의 미각세포에 위치한다. 미뢰내의 미각세포들은 원뿔꼴의 양파 모양의 배열로 미세 융모들은 구강의 상피 사이에 있는 포어(pore)를 향하고 있다. G-단백질공역형수용체와 이온채널뿐 아니라 미각 수용체는 미각세포와 미세융모에 있다. 미세 융모는 포어 내에서 타액으로부터 보호되어 입속의 미각 특성이 있는 화학물질이 포어를 통해 들어가 미세포를 자극하여 전기적 신호가 생성된다.

 

염미의 NaCl은 섭취할때 Na와 Cl이온으로 분리되어 짠맛은 Na이온에 의한다. Na이온은 짠맛을 감지할 수 있는 미각세포에 존재하는 Na이온채널을 통해 신경계를 통해 뇌에 전달되어 짠맛으로 인식된다. 한국인을 비롯한 동양인의 짠맛 인식 작용은 미각 세포 간 Na의 존재 및 농도 차이에 의한 막간 전위차를 이용한 Na채널의 활성화를 통한 인식에 의존하고 있다.

 

박 등은 “염미강화물질 대량선별 시스템”(등록특허 10-131641:2013)에서 짠맛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하여 빨리 선별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과, 김등은 “L-아르지닌과 L-아스파르긴산 혼합이 NaCl 짠맛 향상에 미치는 영향”(J Appl Biol Chem : 2014)에서 두 성분의 혼합비율이 짠맛 증강소재 연구가 있었으나, 향신료 등의 효소 활성을 이용한 염미증강 효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건강유지에 필요한 Na 은 500mg/일 으로 소량이며 과잉섭취는 고혈압 유발과 울혈성 심장발작과 골다공증 발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WHO는 1일 5g(Na:2,000mg) 이하의 식염 섭취를 권고하고 있으나 한국인은 나트륨 목표 섭취량보다 2배 초과하는 4,791mg 수준으로 감염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감염의 목표를 위해서는 짠맛 증강 효과를 내는 소재의 발굴이 필요할 뿐 아니라 GABA 합성효소인 GAD 효소의 활성을 촉진하는 물질을 선별하는 연구가 선행되어 염미증강 효과가 큰 식품을 섭취토록 권장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Hiroshi UE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2(11)
잡지명
化學と生物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42~748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