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학교 건물에 대한 제로 에너지 빌딩 기술 적용
- 전문가 제언
-
○ 제로 에너지 빌딩(Zero Energy Building; ZEB)이란 건물 에너지소비량을 설비의 에너지절약 성능 향상과 재생가능 에너지의 창출?활용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외부로부터 연간 공급되는 에너지가 제로(0)로 되는 ZE(Zero Energy)화 건물을 말한다. 한편, 일반적인 ZEB 정의의 골자는 건물 내의 관리가능 에너지(regulated energy; 냉?난방, 환기, 조명, 급탕 등과 같은 관리가 가능한 에너지)와 함께 비관리 에너지(unregulated energy; 가전, 조리, 세탁 등과 같이 관리가 곤란한 에너지)를 포함하는 전체의 에너지 소비를 대상으로 하며, 온사이트(on-site)에서 영을 실현하는 것이다.
○ 자연 재해가 많이 발생되고 있는 일본은 각 지방자치단체 주관으로 업무?생활계속계획(Business and Living Continuity Plan)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학교 건축물의 ZE화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각 지역 공공시설인 초?중?고등학교 건물은 학생들에 대한 환경 교육과 재해 방재 거점 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 건축물은 다른 용도에 비하여 연간 1차 에너지 소비량이 훨씬 적기 때문에 양질의 실내 환경을 확보하면서 ZE화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일본의 ZE화는 정부가 주도하면서 ‘에너지 절감과 낭비되는 에너지의 최소화’라는 개념으로 이뤄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ZEB에 관한 정의와 실제의 정책 실현 등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는 유럽연합(EU)이나 미국의 인식과 개념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 최근 우리나라 정부도 2025년까지 신규 건축물에 대한 ZE화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나, 실질적인 실현 단계에는 경제성 문제 때문에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 소개한 일본의 학교 건축물에 대한 ZEB 기술 적용에 관한 내용은, EU나 미국의 최신 기술정보에 우선하여 실질적인 재해 대책과 연관시켜서, 적극 연구해 볼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KITORA H., IMANARI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4
- 권(호)
- 88(1)
- 잡지명
- 空氣調和衛生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1~65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