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석류껍질과 껍질추출물의 식품화학적 특성

전문가 제언

이 논평은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영양학적, 기능적 그리고 항감염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식품첨가물로서, 기능적 식품성분으로서 또는 영양보조제제의 생물학적 활성성분으로서 그들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Punica granatum L.학명인 석류나무는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뒤틀리는 모양을 하고 있다. 이란·아프가니스탄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는 약 500년 전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석류의 가식부분은 약 20%이고 주요 성분은 당질이 약 40%, 시트르산이 약 1.5% 들어 있다. 수용성 비타민은 양이 적고, 껍질에는 타닌, 종자에는 갱년기 장애에 좋은 천연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들어 있다.

 

국내연구로는 2014년 박 등은 석류 과실의 부위별 항산화성 및 안토시아닌 함량 차이”, 2013년에 김 등은 국내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과 기능적 특성2005년에 황 등은 석류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등을 각각 발표하는 등 많은 연구가 있다.

 

위의 연구결과에서 석류의 폴리페놀 함량은 한국 고흥산 과피에서 과즙보다는 약 100배 정도 높은 149.91 mg/g이었다. 엘라진 산 함량은 고흥산 과피에서 14.22 mg/g으로 미국산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으며, 고흥산과 미국산 모두 과즙이나 씨 보다는 과피에서 엘라진 산 함량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식품보존료, 안정제, 영양보조제, 프로바이오틱스 및 품질향상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귀중한 물질의 저장소인 석류껍질의 이용은 여러 만성질병의 예방에 있어 실용적인 접근방식이라고 생각된다.

 

석류껍질과 석류껍질 추출물의 전반적인 특성을 감안할 때, 이들의 독성학과 감각적인 면에서 영양보조식품으로서의 새로운 연구는 석류의 폐기물에서 건강증진 가능성과 기술적 및 경제적인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저자
Saeed Akhtar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174()
잡지명
Foo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17~425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