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이브리드 고분자:나노결정 태양전지에서의 배위자 공학

전문가 제언

고비용 실리콘 태양전지 대체에서 기대 높은 저비용 용액가공 가능 고분자:풀러렌 이종접합(BHJ) 태양전지는 9% 초과 파워변환효율(PCE)에 머물러 있다. 고분자 내 저이동도의 원인인 결정경계의 불순물 연구 등이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 전자주개에는 단락전류(Jsc) 향상에 필수인 낮은 띠 간격과 동시에 개방회로 전압(Voc) 향상을 위한 수많은 공액고분자가 연구되고 있으나 더 이상의 성능향상은 장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전자받개에서 독보적 유기계 풀러렌 및 그 유도체는 광흡수가 거의 없고 고가이므로 대체가 추구되어 왔다. 저렴하고 광흡수력이 강하고 조정가능 띠 간격과 높은 전자이동도를 가진 CdSe 등의 반도체 나노결정이 하이브리드 BHJ의 받개로 연구되고 있다. 더욱 나노결정은 비등방성(테트라포드 포함) 구조가 가능하여 BHJ의 한계인 전자수송 개선이 기대되지만 PCE는 ~6%에 그쳐 실현가능 기대치 10%에 못 미치고 있다.

 

저자들은 나노결정 표면의 리간드와 이들이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책 그리고 전망을 집중 논의한다. 원래 리간드는 나노결정 합성 시 용매 내 나노입자의 응집을 막아 콜로이드 상의 안정을 위한 긴 사슬의 절연성 유기물이다. 따라서 나노결정들 사이 및 고분자와 나노결정간의 전자결합이 약해 나노결정 표면에서의 전하트랩은 전하재결합으로 여기자 분리와 계면 전하이동에 지장을 주므로 음이온 원 리간드의 짧은 길이 리간드로의 완전교환이 필요하다. 초기엔 피리딘으로 바뀌었는데 중성이므로 결합이 약해 고성능 리간드가 탐구되었다.

 

작지만 강한 결합력의 염기성 tert-butylthiol 등 고효율 리간드가 발견되었고, 나노결정 표면 과잉 금속이온의 완전 배위결합 필요성이 설명되었다. 국내 고분자 태양전지 기술은 GIST 히거센터 이광희 교수 등의 단일접합 및 탠덤 셀 성능기록이 유명했다. 고분자 하이브리드 태양전지에 관해서는 2003년/2006년 서울대 최상현, 2006년 고려대 강윤묵, 2009~2012년 한남대 이광섭 등의 연구가 일예이다. 받개의 콜로이드 나노결정은 환경에 유해한데 2014년 KIST 이도권, 조소혜는 CZTS를 화학용매 없이 기계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나노결정 합성의 금후 방향을 세계에 알렸다.

저자
Matthew J. Greane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8(1)
잡지명
Materials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1~38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