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감의 수치 데이터화를 위한 촉진 메커니즘에 의한 계측 시스템의 실용화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지금까지 농산물에 대한 품질특성변화를 연구한 많은 논문이 있었으나, 식감에 있어서 부드러움, 연함 등 물리적 평가가 어려운 현 시점에서, 새로운 시도로 물질의 변형을 분석할 때에 가장 기본으로 되는 부드러움을 계측할 수 있는 핸디 부드러움 계측장치 SoftMeasure와 같은 실용적인 시스템의 등장은 앞으로의 식감측정과 같은 품질특성연구에 많은 진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농작물은, 가공식품의 생산관리가 비교적 쉬우나, 개체의 차이가 크고 경시변화도 현저하다, 또 품종품목도 많아 여러 경로로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부드러움계측에 대해서는 평가가 매우 어려운 과제의 하나이다. 그러나 식생활에서의 농산물은 가공식품의 소재로뿐만 아니라, 신선식품으로서 고도의 평가관리가 요구되는 대상의 하나이다.

 

식품의 종류가 다르면 조성도 다르다는 이유에서 필연적으로 탄성률에 차이가 생기는 것은 이해하기 쉽지만, 기본적으로 동일 조성으로 볼 경우가 많은 동일 종류의 식품에서 탄성률에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그 제조 방법과 품질 관리, 제품 개념의 차이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것은 제품개발 콘셉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의 김 등은, 식감측정에 있어서 사람이 밥을 먹을 때 관능적으로 느끼는 저작감을 기계적으로 간편하게 묘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본에서 개발된 텐시프레서(My Boy System, Taketomo Electric Inc., Tokyo, Japan)를 사용하여, 현미와 발아현미를 이용하여, 밥의 경도, 끈기, 찰기 및 부착성을 측정하였다.

 

고기능화·고부가 가치화를 중시하는 최근의 제품개발 과정에서, 피 저작성의 에 대해서 평가검토해야 할 사항으로, 그 관능표현을 텍스추어 등의 지표에 의해서 측정하는 전문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앞으로 인체 진단과 같은 식품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도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Sakuma Atsu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4
권(호)
55(11)
잡지명
食品と容器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02~707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