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쌀 생산과 가격변동 동향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쌀은 전 세계인의 주요 식량이며 인구증가에 따라서 증산하게 되지만 국제적인 무역량과 가격의 변동은 여러 가지 요인 즉 가뭄, 병충해, 가축사료수급, 오일가격의 변동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 쌀의 국제가격이 급등하였던 2008년도는 아시아 주요 쌀 수출국가에서 정부가 국내가격의 급등을 우려하여 수출규제에 나섰기 때문이었다. 아시아의 쌀 수출국으로 태국, 인도, 베트남, 중국 등의 나라들은 대개 개발도상국가로서 인프라가 허약하기 때문에 국제시장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 미국에서 시작된 하이브리드 쌀은 수확량이 많고 10아르(1a=100㎡)의 면적에서 600kg 정도의 수확량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쌀의 품질저하로 인하여 미국 쌀의 수입국에서 불만이 일어나면서 품질개선이 새로운 과제로 나타나고 있다.
○ 중국은 세계 최대의 인구와 농산물의 초생산국으로서 앞으로 쌀의 주요수출국으로 변신할 가능성은 충분하다. 뿐만아니라 중국, 태국, 인도, 베트남 등의 주요 쌀 생산국에서 증산을 위한 하이브리드 종자를 도입할 경우, 쌀의 과잉증산에 따른 가격하락의 우려가 예상된다.
○ 미국의 캘리포니아 산 자포니카 쌀은 일본, 한국, 대만에 수출하고 있으며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인디카 쌀(입자가 긴 종류)의 가격이 비교적 낮은 패턴을 유지하고 안정되어 있는 것은 자포니카 쌀과 인디카 쌀의 경쟁관계가 아니라 품질이 서로 다른 곡류로 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 한국의 2014년도 쌀 생산량은 424만 1천톤으로 확정되었다. 쌀의 품질개선에 노력하고 있으며 경상북도 의성군에서는 2012년 ‘의로운 쌀’이라는 상품명으로 550톤을 호주에 수출하였고, 각종 기능성 쌀의 생산도 늘어가고 있다. 1인당 쌀 소비량은 1997년 102.4kg이었으나, 2005년은 80.7kg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원인은 육류, 빵, 보리, 밀, 콩, 채소, 과일, 햄버그, 피자 등의 소비가 증대됨에 따른 식생활패턴의 변화 때문으로 보인다.
- 저자
- 李東正一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4
- 권(호)
- 109(10)
- 잡지명
- 日本釀造協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692~697
- 분석자
- 강*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