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능 복합화 하드코팅의 자동차 후면 유리에 응용
- 전문가 제언
-
○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이하, PC수지라고 약칭)는 우수한 내충격성과 투명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리에 비하여 비중이 1/2인 것으로부터, 경량화를 목적으로 차량용의 창에 이용되는 유리의 대체수지로서 실용화를 향한 개발이 왕성하게 수행되고 있다. 또한, 환경이나 에너지절감에 대한 의식의 고취나 법 규제를 받기 때문에, PC수지로의 기능성 부여가 반드시 필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 적외선은 그의 특성상,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 변환된다. 차량에 있어서는, 창을 투과한 적외선이 실내의 대쉬 보드나 좌석 등에 흡수되어 고온상태로 되며, 사람들에게 찌릿찌릿한 감을 제공하는 요인으로 된다. 따라서 창 재료에 적외선 차폐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하여 차량내부에 적외선 침입을 방어하면, 쾌적성의 향상뿐만이 아니고, 실온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소형의 전기차량 등은 에어컨에 의한 전기소비를 억제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 자동차 등의 창유리에는 안전유리에 관한 시험성능의 적합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차량의 시계요건에 관련되는 부위의 경우, 마모시험에서는 유리와 동등의 성능이 하드코트 처리된 PC수지에도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하드코트 처리에 있어서 유리조성의 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중요한 기술로 되어 있다.
○ 차량용의 루프나 창에 서리?얼음?이슬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는 에어컨에 의한 온도조정 또는 열선을 창에 조합시킨 발열방법이 있다. 현재는 서리, 눈 또는 이슬을 제거하여 시계확보를 목적으로 흐림 제거기능을 부여한 유리가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 PC수지에 비하여 하드코트의 내마모성은 상당히 우수하지만, 유리와 비교한 경우에서는 대체 재료로서 충분한 내마모성을 가지는 것은 적고, 또한 내마모성은 충족되었을지라도 내열성과의 양립이 어려우며, 하드코드만으로 유리와 동등의 성능을 얻는 것은 지속적 개발이 요구된다.
- 저자
- Kazufumi Iwa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34(7)
- 잡지명
- 機能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9~45
- 분석자
- 강*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