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분 대사: 동전의 양면?
- 전문가 제언
-
○ 산업적으로 중요한 중합체인 전분은, 여러 효소의 다양한 이소-형을 수반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만들어진다. 이들은 전분구조 변화에 기여하는데, 즉 하류-산업 용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리뷰는 잎과 저장기관의 전분대사에 관한 최근 진보를 비교, 검토한다. 전분립 착수와 형성, 전분대사에 수반되는 효소 복합체, 전분 합성과 분해에서의 흐름 조절이 시험된다.
○ 본 리뷰와 관련된 국내 연구자의 최근논문에는, “당 대사 및 비-생물성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벼 OsASR 유전자의 기능, 주정수, 명지대 박사학위논문, 2014”, “고초균과 대장균의 말토-덱스트린/글리코겐 대사에서 전분을 이용하는 효소의 역할, 박종태, 한국생물공학회, 2013”, “호열호산성 crenarchaeon sulfolobus acidocaldarius DSM639의 전분대사, 최경화,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2013”, “벼 탈-분지 효소 이소아밀라아제3은 전분대사를 촉진하고 색소체 형태형성에 영향한다, Plant and Cell Physiology, 2011”, “IDD14의 두 삽입 변이체 전사인자는, 전분대사를 조절할 수도 있는, 비-기능성 이종-이합체를 경쟁적으로 형성한다, 서필준, 한국육종학회 발표요지, 2011”, “관상-꽃 화밀에서의 전분대사, 박상규 등,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08” 등이 있다.
○ 과거에는 전분대사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으나, 최근에는 그다지 활발하지는 않은 경향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단일 종에 대한 대사연구가 주종을 이루는 반면 합성과 분해를 관련지은 연구는 드물다.
○ 전분합성효소 간의 상호작용은, 과립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많은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아주 최근에 전분분해효소가 전분구조 결정에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져, 산업용 전분 증가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 전분의 합성과 분해를 동시에 다루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James Richard Lloyd and Jens Kossman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3~148
- 분석자
- 김*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