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영상의 영역기반 바스-리리프 생성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바스-리리프(bas-relief: 얕은 양각 조소)은 조각과 그림 사이의 미술형식이다. 본 논문은 미술가가 바스-리리프를 만드는 과정으로 단일 영상에서 바스-리리프를 제작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영상에서 객체를 위한 정확한 깊이 값을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흔치 않는 만족하는 가정을 요구하는 다루기 힘든 컴퓨터비전의 문제이다. 반면에 영상에서 객체와 그 부분에서 상대 깊이 순서에 기반 하는 층(layer)을 정하고 3D 리리프 모델에서 곡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 정보를 사용한다. 특징 선은 입력 영상의 새로운 영역기반을 나타내기 위하여 추출하고 사용한다. 곡면 구성에서 먼저 기반 평면을 생성하고 다음으로 원천 영상의 강도와 경사도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한다. 증강으로 인한 깊이 오차를 방지하는 출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피드백 과정을 이용한다. 본 연구결과로 생성된 바스-리리프는 미술가가 그것을 만드는 핵심 성질인 적당한 높이관계에 따라 매끄러운 경계를 나타낸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간편하여 사람 얼굴, 꽃 그리고 동물을 포함하는 여러 입력영상에서 잘 적용됨을 보인다.
○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컴퓨터 실행의 결과는 전반적으로 정확한 형상으로 바스-리리프를 제작하는 제한된 사용자 지원에 따라 영역 사이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정확한 깊이 관계를 일반적으로 추론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그 사용이 간편하여 여러 입력영상 제작에 좋은 결과로 적용됨을 보인다. 보다 섬세한 영상 제작으로의 개선 작업과 제작된 바스-리리프에 대한 보다 객관적 평가방법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 바스-리리프 제작기술은 고대부터 중국과 중동문화에서 중요한 맥을 이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 바스-리리프 기술에 ICT와의 융합 기술로 최근에 급속히 발전하는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 대부분의 연구자는 중국학자이다. 최근에 급속한 중국의 변화를 느끼게 한다. 국내 관련 분야 학회에서 이와 같은 결과의 연구발표는 전혀 없다고 사료된다. 바스-리리프를 제작하는 국내 미술가는 분명히 있을 것이나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은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고 사료되어 아쉽다.
- 저자
- Qiong Zeng, Ralph R. Martin, Lu Wajng, Jonathan A. Quinn, Changhe T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76()
- 잡지명
- Graphical Mode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40~151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