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분사 코팅 시 고속 충격유기 미세조직의 개선에 대한 기술동향
- 전문가 제언
-
○ 저온분사 코팅은 코팅용분말을 가열해 코팅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압축?팽창으로 생기는 초음속 기체기류를 이용해 분말이 코팅 대상물과 충돌시 발생하는 에너지로 점착, 코팅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상온에서 코팅이 가능해져 소재의 변형변질을 막을 수 있으므로 내마모성, 내피로성, 내열성, 내식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연구가 현재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 저온분사 코팅기술은 플라스틱처럼 열에 약한 소재나 산화하기 쉬운 알루미늄, 구리, 복합재 등에 대하여 기존 고온방식의 코팅에 어려움을 겪은 소재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다. 향후 금속표면처리를 통한 제품 고부가가치화 기술, 예를 들면 극초음속, 고용융점 재료, 복합재료 등의 적용기술을 개발하여 제품을 획기적으로 고기능화할 수 있는 차세대 저온분사 코팅기술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 현재 전세계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저온분사용 코팅재료로는 통상 구리, 알루미늄, 아연, 니켈 티타늄, 철계 합금, 니켈계 초합금, 금속유리물질, 금속간 물질, 세라믹입자가 분산된 금속복합화합물(WC-Co), Si/Al, 청동/다이아몬드, 입방정 BN/NiCrAl 등의 다양한 재료가 부상되어 있으며, 적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향후 국내 산업체에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고급재료의 개발과 최적 재료의 선정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 국내 산업계의 첨단 코팅기술로 자동차, 항공, 선박, 플랜트 제작, 제철설비, 반도체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부품에 대하여 수명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적용범위를 크게 확대하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국내기술로 저온분사에 대한 기술을 완전히 정착해 나가기 위해서는 충격유기 소성변형, 탬핑(tamping) 효과에 의한 치밀화(densification), 잔류응력, 전위증식과 가공경화, 역학적인 재결정화에 의한 입자미세화, 상변태와 비정질, 어닐링열처리에 의한 준안정 미세조직의 기여도 등의 메커니즘을 근본적으로 파악해 나가야 한다.
- 저자
- Xiao-Tao Lu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4
- 권(호)
- 254()
- 잡지명
-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1~20
- 분석자
- 유*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