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의 인슐린은 전신 대사와 뇌 기능을 조절한다.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뇌가 인슐린 저항을 갖게 되면 인슐린이 작용하지 못해 파킨슨병(Parkinson Disease(PD))에 결릴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로 비만형 2형 당뇨병 환자(인슐린 저항 높음)들은 PD위험이 정상인보다 2배 높다. PD환자들은 당뇨병환자들처럼 인슐린 수용 체, IGF-1수용 체 발현이 크게 감소하여 인슐린 작용, 미토콘드리아의 작용장애가 있다. 인슐린 신호경로에 관여하는 신호단백질 Akt활성이 억제되어 인슐린 민감도가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2형 당뇨병환자들은 PD발생 위험이 높다.

 

당뇨병으로 뇌에 인슐린 저항이 생기면 뇌에서 인슐린이 콜레스테롤을 생성치 못해 콜레스테롤양이 감소하고 이어서 SREBP, SCAP도 감소한다. SREBP, SCAP이 부족하면 뇌신경의 시냅스형성, 신경발사(neuronal firing), 기억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당뇨병으로 퇴행성 신경병(파킨슨병, AD)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가 인슐린의 콜레스테롤 생산 감소이다.

 

미토콘드리아 스트레스도 AD를 발생시키는 병리적 원인이 된다. 비만형 당뇨병 환자들의 뇌(시상하부)에는 렙틴 작용이 부족해 미토콘드리아 chaperon인 열 충격 단백질 60(heat shock protein 60(hsp60)) 발현이 감소하여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가 커진다. AgRP뉴론에 mitofusin이 작동하지 않아 신경 발사(neuronal firing)가 안 된다. 대체로 AD, PD병 발생의 증가는 연령(노령)에 따른 IGF-1, 인슐린농도, 인슐린 수용 체 감소에서 부분적으로나마 온 것이다.

 

뇌에 인슐린 저항이 있으면 뇌에 과다하게 인슐린이 많다. 인슐린은 지방 분해를 억제하고 지방축적을 높이기 때문에 목뒤, 머리 뒤쪽에 지방이 많다. 머리에 지방이 많이 축적되면 인슐린 저항으로 인지능력, 기억력 등을 감소시켜 뇌기능장애가 나타난다. 실제로 지적장애자들은 목뒤, 머리에 지방이 많다. 뇌에서 인슐린 작용에 식이요법과 운동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과제를 제시한다.

저자
Andrei Kleinridder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4
권(호)
63()
잡지명
Diabet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232~2243
분석자
윤*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