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기전기(magnetoelectric) 센서 재료의 현황과 전망

전문가 제언

전기자기적(ME) 효과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재료 내에서 유전성(dielectric) 분극이 야기되는 현상으로, 이것을 이용하여 자기센서를 만들 수 있다. 자기센서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ME자기센서는 저전력(<10㎼), 저주파(<10Hz), 고감도(<nT)용으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단상 화합물 ME재료만으로는 실용화가 어려우므로 최근에 다상 ME복합재료를 이용한 ME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다상 ME복합재료란 자기장에 의해 자기변형을 일으키는 강자성체와 압전효과를 나타내는 강유전체를 결합시킨 것이다. ME자기센서는 자기를 감지하고, 그것을 압전체를 통해 전류신호로 변환/증폭시키는 복합적 역할을 수행한다. 현재 가장 유망한 ME자기센서는 강자성체와 압전성 강유전체를 층상으로 쌓아 만드는 적층형 구조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적층형 ME자기센서와 실용화의 관건이 되고 있는 자기잡음의 제거에 대해 상세히 고찰한다.

 

ME재료의 존재는 1894년 Pierre Curie가 처음 예측하였고, 1961년에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그 후 ME재료는 단상→입자형→적층형→마이크로/나노박막 화합물로 발전하였다. 적층형 ME자기센서 중에서는 Metglas(자성 금속유리)/ID전극/압전 섬유/ID전극/Metglas 순으로 적층한 다중 푸시-풀(multi-push-pull) 구조의 ME자기센서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또 마이크로/나노박막 형 재료가 등장하여, 향후 전기기록/자기재생 메모리와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 분야에서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2010년 이후 포항공대, 서울대, 이화여대, 서강대 등 대학과 KIST, KIMM(재료연구소) 등 연구소에서 ME재료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180건)이 발표되었다. ME복합재료에 대한 연구는 60여 건, 마이크로/나노박막에 관한 논문은 30여 건 정도이고, 나머지는 ME효과와 관련된 강자성체, 강유전체, 다강체에 대한 것들이다. 그러나 적층형 ME복합재료와 그것을 이용한 자기센서 설계에 관한 연구는 3건에 불과하다. 기초연구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ME자기센서의 실용화 연구에도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저자
Yaojin Wang, Jiefang Li and D. Viehlan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4
권(호)
17(6)
잡지명
Materials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69~275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