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래 우주 탐사의 국제 우주정거장

전문가 제언

인간의 우주에 대한 날고 싶은 꿈은 1903년 Wright 형제의 비행을 시 초로 구현되기 시작하였다. 1944년 Constellation 정기 비행 여객선이 운항되었는데 이것은 Wright 형제의 비행 후 40년 되는 것으로 그 당시로는 상상을 초월하는 발전이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우주에 대한 도전이 구소련의 선점을 시작으로 눈부시게 발전되어 Yuri Gagarin이 우주선 Vostok호로 지구 궤도를 돌았고, 미국의 Armstrong이 달 착륙으로 이어진 경쟁시대와 소련의 Mir, 미국의Skylab 우주 정거장 등으로 발전되었으나, 단일 국가로의 우주 도전에는 한계를 느껴, 마침내 국제우주정거장 시대가 도래하였다.

 


현재 국제 우주정거장은 미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 벨기에, 덴마크, 스웨덴, 스페인, 노르웨이, 네덜란드, 스위스, 일본, 캐나다의 15개 국가에서 브라질이 참여하여 16개 국가가 참여라는 진정한 국제 공동 프로젝트로 운영되고 있다.

 


논문에서 언급된 것처럼 국제 우주정거장은 마이크로 중력과 우주 환경에서의 각종 실험을 통하여 지구상의 인간 생활에 기여하였을 뿐 아니라 앞으로의 우주 개발에 대한 사전 환경 지식도 얻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지속적으로 이를 발전시켜나갈 것이 자명하다. 한 가지 중요한 사항은 현재 중국의 참여가 국방 문제와 연결되어 불가한 상태에서 중국은 독자적으로 우주 정거장 개발을 해오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을 목표로 달 탐사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달 탐사는 단순하게 그 하나만을 추진하기에 앞서 거쳐야 하는 단계가 있고, 그 중 하나가 국제 우주정거장에 공동 참여라고 판단된다. ISS에 참여한 국가가 모두 우리나라보다 우주 개발에 대하여 선진국이 아님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Johannes Weppl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4
권(호)
104()
잡지명
Acta Astronautica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52~557
분석자
이*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