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위치기반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공간인식 관심 집단 질의

전문가 제언

  최근 포지셔닝(positioning)과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Twitter, Foursquare 및 Facebook과 같은 여러 사회적 네트워크에서는 위치의 차원을 인식하고 물리적 세계와 온라인의 사회적 네트워킹 사이의 갭을 연결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 공간(spatial) 데이터베이스는 기하학적 공간에서 정의되는 객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질의하는데 최적화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점이나 선분 또는 다각형과 같은 기하학적 특성 외에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는 3D 물체, 위상학적 위치, 선형 네트워크 등의 위치분석에 활용된다.


  ○ 더욱이 스마트-폰과 인공위성의 기술 발전은 개인의 위치뿐만 아니라 자신과 관계가 있거나 관심 있는 사물에 대한 공간적 위치를 발견하는데 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 외에  특정 장소의 날씨 서비스, 교통정보 서비스, 생활정보 서비스,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은 이미 실용화되고 있다.


  ○ 위치기반 서비스는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각국에서는 위치기반 서비스의 활성화와 위치정보의 오남용을 막기 위한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1999년부터 서비스가 실시 중이고 2005년 7월 28일부터 '위치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위치기반 사회적 네트워크에서 키워드를 활용한 공간인지 관심집단 질의에 대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그의 효율성을 여러 데이터-셋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 이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활발하고 스마트-폰에서 실용화되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최첨단 스마트-폰 구현에 많은 공헌을 하고 있으나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기업 차원의 활용은 아직도 미완의 과제이다. 더욱이 사물 인터넷과 같은 최첨단 분야에서의 위치기반 서비스에 관한 연구도 새로운 도전과제이다.

저자
Yafei Li, Dingming Wu. Jianliang Xu, Byron Choi, Weifeng 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4
권(호)
92()
잡지명
Data and Knowledge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0~38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