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농촌지역의 에너지 이용에서 탄소배출량 감축 잠재력
- 전문가 제언
-
○ 중국은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2006년 이래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미국을 앞질러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은 2020년까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목표를 설정하였는데 GDP기준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6년도에 비해 40-45%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 중국의 총 에너지소비량은 2008년 기준으로 2,857Mtce(=석탄 환산 백만 톤 단위)이며 이 중에서 농촌지역의 에너지소비량이 약 1/3인 925Mtce를 차지한다. 농촌지역의 에너지소비량 중 63%는 주거용이고 37%는 생산용이다.
○ UNEP는 세계 각국이 경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대규모 재정투자를 계획함에 있어서 녹색건물, 신재생에너지, 지속 가능한 교통 및 농업, 산림 및 담수자원 등 녹색부문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할 것을 권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세계 각국이 향후 2년간 GDP의 1%를 녹색인프라부문에 투자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은 녹색성장을 국가비전으로 설정하여 지속적 및 체계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이를 통해 관련 산업과 경제를 활성화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녹색경제의 실현을 추구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12년 기준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7위로 평가되고 있고 GDP 경제력은 2014년 기준으로 세계 13위로 발표되고 있어 적극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방안의 추진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2015년 10월 이전에 온실가스 배출량 목록을 작성하여 유엔에 제출하도록 되어 있다. 2020 이후부터는 우리나라도 국제 온실가스 걈축체계에서 의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해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산업용 에너지의 사용 비중이 높아 농촌지역의 에너지소비량 비중이 적은 편이지만 국가 전반적으로 에너지 소비절약이나 에너지효율 향상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므로 주변국인 중국의 경우를 참조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저자
- Canbing Li, Lina He, Yijia Cao, Guoxuan Xiao, Wei Zhang, Xiaohai Liu, Zhicheng Yu, Yi Ta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29()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54~262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