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람의 장수와 연관된 유전적 인자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근래 인구집단에서 조기 사망률의 감소 등으로 인한 평균수명과 평균기대여명의 지속적인 증가는 전체인구에서의 노인인구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노령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65세를 보통 노인으로 정의하기도 하고, 특정한 고령은 전형적으로 85세 이상을, 또 예외적인 장수를 95세 이상 또는 특별히 100세 이상을 ‘centenarian'이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건강한 또는 성공적인 노화는 심·뇌혈관질환, , 당뇨병 등 만성질병을 수반하지 않고 노령에 진입하는 장수를 말한다.

 

장수는 생활습관 등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지만 유전자가 관여하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복합적인 형질이다. 유전적 요인도 개개의 유전자가 독자적으로 작용하기보다는 다수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표출되는 형질이다. 본고에서는 후보유전자 연관연구, 유전체전반 연관연구(GWAS) 등의 연구방법을 이용한 최근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장수와 연관된 유전자 APOE, FOXO3A 및 기타 몇몇 후보유전자의 작용 및 역할을 게재하였다.

 

사람의 장수와 연관된 유전자에 대한 다양한 연구계획 중에서 후보유전자연관연구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구계획이다. 이런 경우 대조그룹은 환경인자 노출과 생활경험을 공유하는 출생 코호트와 일치하는 대상이 연구목표에 적절한 대조그룹으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흔히 살아있는 젊은 그룹을 사용하는데 이는 적합하지 않은 대조그룹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국내 100세 이상 인구에 대한 원광대 김종인의 발표 자료에 의하면 이들은 인구 10만 명당 5명으로 전국적으로 2천명을 넘지만, 이는 미국의 23, 일본의 12명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 연구는 주로 장수인의 지역에 따른 사회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한편, 서울대 박상철, 이준호 등은 한센병 치료로 사용되는 DDS 약물이 동물모델 선충(C. elegans)에서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여 수명을 연장한다는 발표를 하였다. 한국 장수인의 국내 유전자연구가 기대된다.


저자
Shadyab, A, H, LaCroix, A, 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19()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7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