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온실가스 CO2를 연료가스 CO로 전환하는 부다(Boudouard) 반응 총설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CO2는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이므로 이의 저감은 지구적 관심사가 되었다. 고체 탄소(숯, 촤, char)가 CO2와 반응하여 CO가 생성되는 아래의 부다(Boudouard)반응은 CO2 방출을 저감하는 직접적인 경로이다. 이 반응을 통하여 다양한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CO2 및 합성가스 중의 CO2를 연료가스인 CO로 고급화 할 수 있다.

CO2(g) + C(s) ↔ 2CO(g)

 

부다 반응을 경유하여 생산된 CO는 수성가스 전환반응에 의한 수소 생산, 메탄올 생산, 피셔-트롭시 합성유 및 각종 카르보닐화 반응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글은 다양한 탄소 기반 재료에서 생성된 숯의 CO2 가스화와 부다 반응을 경유한 CO 생산, 또 이 반응에 가장 영향을 주는 인자들과 반응속도론에 관한 연구보고를 전체적으로 묶어서 설명한 것이다.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CO2를 저감하는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CO2를 단순히 포집하여 격리, 저장하는 것보다는 화학반응에 의해 유용한 화합물이나 연료를 생산하는 기술이 유리할 것이며, 이런 관점에서도 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하다.

 

CO2를 부다 반응에 의해 CO로 전환하는 국내 연구진의 기초연구는 국내외 저널에 다수 보고되고 있다. 원문에서도 이정수 및 김상돈의 “Gasification kinetics of waste tire-char with CO2 in a thermobalance reactor” 등 4건이 인용되었으며, 국내에서도 강석환 등의 “저급탄의 열분해 및 촤-CO2 가스화 반응의 속도론적 연구”를 들 수 있다.

 

부다 반응을 이용하여 CO2를 CO로 전환하는 기초연구는 수행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본다. 그러나 실제 산업화를 위해서는 경제성은 물론 생애주기분석에 의한 에너지 수지와 탄소 수지를 면밀히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잉여 CO2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코크스와 반응하여 CO를 생산하는 방법 등 여러 방안이 활용될 수 있으므로 CO2의 여러 변환기술을 검토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저자
Pooya Lahijani, Zainal Alimuddin Zainal, Maedeh Mohammadi, Abdul Rahman Mohame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15~632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