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처리 기술의 동향과 장래 전망

전문가 제언

영국의 물전문 리서치 기관인 GWI에 따르면 세계 수처리 시장 규모는 2010년 기준 약 500조원에서 2016년에는 약 700조원, 2025년엔 약 10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2025년이면 35개 주에서 물 부족이 전망되며 오바마 정부는 151억 달러 규모의 신규 수도정화 사업과 수자원 개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미국 수처리 설비 제조시장은 2013년 이후 5년간 연평균 3.5%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도쿄도는 201410월 스미토모상사 등의 기업공동체가 말레이시아 하수도 정비 프로젝트를 약 500억엔으로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계약 기간은 2020년까지 6년간이며 하수처리에 있어서 설계에서 건설, 유지관리까지 일괄 관리하는인프라스트럭처 수출을 실현한 일본의 최초 사례이다.

 

GWI에 따르면 2013년 우리나라의 세계 물시장 점유율은 1.6%에 불과하며 물 관련 수출은 201016억불에서 201113억불로 18%나 감소했다. 이에 우리 정부도 201010월 물산업 육성전략을 수립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한편 20154월 열리는7차 세계물포럼을 통해 IT 강국의 이미지를 활용해 스마트 물관리를 국제화하는 등 물산업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는 바탕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물산업은 상하수도, 공업용수, 생수 및 설비시장에 국한되었으나 현재는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과 홍수에 대한 삶의 질 개선 등 범위가 보다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해수담수화 설비 분야와 중동에 집중되어 있는 사업영역과 해외진출 분야의 확대가 절실하다.

 

또한 2050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7할이 도시부에 집중될 것을 감안하면 인프라스트럭처의 강화, 특히 수원의 확보 및 수처리 기술의 고도화가 앞으로의 큰 과제이다. 배수 처리시설에 있어서는 최근 처리수의 수질을 준수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온실가스 삭감 및 에너지 절약화 등의 다양한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TAKIZAWA Sato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4
권(호)
78(12)
잡지명
化學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64~868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