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지역 하천의 아메리카비버 생태계와 관리 및 보전
- 전문가 제언
-
○ 20세기 초 거의 멸종위기에 처한 후 비버개체군은 북미 수많은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으며, 건조 및 반건조 환경의 하천복원에 비버활동을 활용하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천과 하안생태계는 인구증가 및 기후변화에 따라 많은 도전에 당면하고 있지만 건조지역 하천의 비버 생태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 본고는 북미 건조지역에서의 비버활동 관리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자료를 통하여 검토하였으며, 온대와 건조지역 하천 간의 비버 보전과 분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 건조지역 하천에서 비버활동이 비교적 잘 규명된 사항으로는 하천 형태학, 지하수과정, 지속적인 습지서식지 창출, 하안식생에 대한 상당한 영향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결과는 건조지역 하천에서 도출한 결과보다는 온대하천에서 유도된 효과이었다.
○ 따라서 비버 댐의 밀도와 분포, 비버 댐 수문학, 물 수지분석, 수생 및 비 토착 종 확산에 미치는 비버활동의 영향 등 다양한 연구가 건조지역 하천에서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비버활동은 하천 보전비용에 상당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 활동을 도입하거나 제거하는 방안이 동시에 제시되고 있어 큰 쟁점이 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아메리카비버의 서식이 확인된 바 없고 동물원에서만 볼 수 있지만 수달이 서식하는 우리나라 하천에서는 비버와의 차이점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P.P. Gibson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24()
- 잡지명
-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91~409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