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 토양의 복원을 위한 계면활성제 이용 연구 총설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독성 유기물질, 중금속 혹은 방사능 물질로 오염된 각종 토양을 정화, 복원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기술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 총설에서는 토양 복원을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최근 동향, 계면활성제의 토양 복원 메커니즘, 최근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계면활성제 종류 및 장래 기술연구 방향을 개관하였다. 비록 실제 적용 사례는 소수이지만, 실증시험과 실제 적용을 통하여 계면활성제 기반 복원기술은 여러 오염 토양과 지역을 복원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국내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토양 복원 연구는 다수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박성우 등의 “토양세정 기술을 활용한 윤활유와 아연 복합오염 철도토양의 정화 연구” 및 조상현 등의 “디젤오염토양 복원 효율 증진을 위한 음이온/비이온 계면활성제 토양세척공정에 초음파 적용 영향” 등이 있다. 원문에서는 9편의 연구가 인용되었다.
○ 환경부는 토양복원 기술 및 사례집(2002) 및 오염토양 정화방법 가이드라인(2007)을 발간하여 오염토양 복원기술을 홍보하여 왔다. 환경부는 우리나라의 토양 및 지하수 환경시장의 90% 이상을 국내기술로 대체할 수 있는 선진국 수준의 오염방지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의 현장적용실험을 통한 기술상업화를 유도하며, 환경시장 개방에 따른 국내 기술력의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한 장기계획을 세워 상당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 현재 국내에서도 토양복원을 위한 기술연구가 활발하지만, 실험실 수준의 연구를 지양하고, 실제 현장에서 즉시 수행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토양환경 복원뿐 아니라 국제 환경시장에서 경쟁력이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 Xuhui Mao, Rui Jiang, Wei Xiao, Jiaguo Y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285()
- 잡지명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19~435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