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서 유해성 카사바바이러스 매개 담배가루이의 생물학 및 관리
- 전문가 제언
-
○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가 전염시키는 바이러스는 카사바모자이크병과 카사바갈색줄늬병을 야기하여 아프리카 모든 카사바작물의 절반이상에 피해를 주고 있으며 연간 생산하는 경제적 손실도 10억 달러이상이다. 역사적으로 현재의 편견은 매개체 방제보다는 바이러스에 집중되어 질병확산이 지속되었고 이들 가루이 개체군은 카사바 생산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 담배가루이의 현재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종 방제가 성공적으로 진전되기 위해서는 미국 남서부 지역에서 수행된 종합방제 프로그램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관리노력에서는 가루이 천적동물을 보전하는 살충제를 활용하는 것으로 대규모농업에만 적절하여 아프리카의 대다수 카사바 재배에서는 배제되고 있다.
○ 아프리카 카사바의 담배가루이 방제를 강화하는 계획은 이들 한계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저비용으로 효과적이면서 숙주저항성이나 바이오방제와 같은 방제방법에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전력승수 적용을 기반으로 하는 기본골격은 아프리카 카사바의 향후 가루이 방제전략을 우선순위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국내에서도 카사바는 식용으로 활용되고 있어 주로 캄보디아와 베트남 지역의 생산현황과 수급에 따른 연구가 최근에 수행되었으나 병해충방제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일반작물의 가루이 방제에 집중되었다. 특히 가지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한 Neem제 처리농도 설정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이들 해충이 매개하는 바이러스질병에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J.P. Leg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70()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446~1453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