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수요관리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스마트 그리드는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 네트워크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기술, 통신, 자동화 및 전기 네트워크 제어에 대한 통합화 사용을 기반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수요관리(DSM) 기술사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 유형에 가장 적합한 DSM 정책을 선택하고 소비자 수요 부하 곡선 패턴을 분류하기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디지털 미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분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시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의 핵심은 무조건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에 불편이 없도록 에너지를 사용하되, 무분별하게가 아닌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있다. 즉, 실시간 요금제나 계시별 요금제 등을 통해 소비자가 시간대별 소매가격에 부합하는 전기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하고, 전력 수요의 분산 및 제어를 통해 전체적인 입장에서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스마트그리드 사업범위에 따라 전망기관별로 시장 규모가 다소 상이하나 Frost & S ullivan은 스마트그리드 시장이 2011년 289억불에서 2017년 1,252억불로 연평균 28%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다수 국가에서 2015년까지 실증사업을 완료한 후 국가단위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추진하면서 2017년 이후 시장이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1년 9.15 순환 정전 사태 이후 단기 전력수요 예측력 제고를 위해 국·내외 최신 단기 전력수요 예측 기법을 적용한 단기수요예측(KSLF, Korea Short term Load forecast)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왔다. KSLF 프로그램은 날씨, 기업체 조업률, 전력소비 경향, 경제 상황 등 불확실한 변수 및 오차율을 반영해 1차적인 전력수요를 산출한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그리드 기술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 국가 에너지 소비의 3%가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태양광, 풍력 등 그 생산량이 불규칙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에도 보급 확대 기반을 조성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저자
M.N.Q. Macedo, J.J.M. Galo, L.A.L. de Almeida, A.C. de C. L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8~133
분석자
마*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