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마이크로그리드의 최적부하분배
- 전문가 제언
-
○ 마이크로그리드는 신재생에너지 및 분산전원을 전력계통에 연계하기 위한 전력계통의 신개념으로 평상시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운전되다가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주 전력계통에서 분리되어 단독으로 운전(island operation)하는 피더(feeder)단위의 독립계통을 말한다.
○ 기존 전력망의 경우 발전은 발전소에서만 전담하고 수용가에서는 소비만 하는 한 방향 전력망 구조였으나 마이크로그리드에서는 기존에 소비만 하던 수용가(consumer)와 공급자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 대형 수용가들이 연계된다. 기존 전력망에서 프로슈머(prosumer)는 자급자족만 할 뿐 전체 네트워크에 기여하지 못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 마이크로그리드 기술이 개발되었다.
○ 스마트 그리드계통에서 유연하고 다양한 분산발전과 마이크로 그리드(MG, Micro-grid)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스마트 그리드와 관련된 에너지관리기술과 최적화 기술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 최적화의 중요 부분으로서 MG의 최적부하분배가 스마트 그리드 계통에서 MG의 효율적 운영에 기여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 대규모발전계통의 기존 최적부하배분모델은 특성상 MG에 전혀 적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 MG의 최적부하배분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국내의 경우 한국전기연구원은 마이크로그리드의 에너지관리 기술 중 다수의 분산전원이 수용가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발전량과 전류를 제어하고 전기품질 및 신뢰도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고장 시 계통을 마이크로그리드와 고속으로 분리한 뒤 무정전전력공급이 가능한 정지형 스위치(STS)와 설비제어를 통해 최적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용 에너지관리시스템(EMS)를 개발했다. 기초전력연구원은 전기사업자와 수용가 용도에 적합한 차세대 다품질 전력공급관리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MG의 최적화기술을 위해서는 이글에서 제안한 특성에 맞는 최적부하분배모델도 요구된다.
- 저자
- Kaile Zhou, Shanlin Yang, Zhiqiang Chen, Shuai Di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4
- 권(호)
- 35()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04~310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