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사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 전문가 제언
-
○ 지구 온난화는 대기 중에 온실가스 농도 증가로서 온실효과가 발생하여 지구표면 온도의 점차적인 증가, 해수면 상승, 가뭄, 토양침식 및 작물생산성 저감 등의 글로벌 기후변화를 발생한다. 온실효과가스 가운데 화석에너지 연소에 의한 이산화탄소가 전체온실가스 배출량에 77%를 차지하고 있다.
○ 지구 온난화 지수(GWP: Global Warming Potential)는 온실가스 1kg당 지구온난화 임팩트로서, 이산화탄소를 기준으로 나타낸 지수로서 이산화탄소배출량에 상당하는 임팩트(kg-CO₂eq.)로 산정되며, 이산화탄소 온난화지수가 1이면 메탄 온난화지수는 약 23, 아산화질소 온난화지수는 296 정도 이다.
○ 메탄은 농축산업 분야에서 많이 발생하며 소의 장내발효에 의한 트림과 방귀, 가축분뇨 등에서 배출되며, 아산화질소는 비료생산량 증가로서 산업혁명이전보다 현재 두배 증대되어 대기 중에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 우리나라 농진청연구보고서(2014)의 돼지사육 단계별 암모니아 배출계수(kghd?¹ yr?¹ )는 각각 임신돈은 0.94kghd?¹ yr?¹, 분만모돈과 포유자돈은 5.51(kghd?¹ yr?¹ , 이유자돈은 0.71kghd?¹ yr?¹ , 및 육성비육돈은 6.63kghd?¹ yr?¹ 등이었고, 개방 한우사의 두당연간암모니아발생량은 7.6kghd?¹ yr?¹ 이며, 개방 육계사의 마리당 연간암모니아발생량은 0.191kghd?¹ yr?¹이고, 연간 마리당 암모니아발생량은 0.282kghd?¹ yr?¹ 등으로 발표되었다.
○ 우리나라의 가축배설물 분해와 소나 돼지 등의 트림과 방귀에서 배출되는 축종별 연평균 한우, 유우, 돼지, 닭 등의 마리당 온실가스배출량은 각각 1,435 kg-CO₂eq., 3,398 kg-CO₂eq., 128 kg-CO₂eq., 2.6 kg-CO₂eq.로서 유기성폐기물온실가스 배출감축을 위해서는 메탄발효시설의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여, 온실가스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억제하는 정책이 시급하다.
- 저자
- F.-X. Philippe, B. Nick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4
- 권(호)
- 199()
- 잡지명
- Agriculture, Ecosystem and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25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