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종 IoT 디바이스 간 네트워킹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인 TCP/IP 프로토콜을 통한 인터넷 망과의 연결방법은 각 IoT 디바이스의 위치 및 주소 등을 인식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3G 이동통신시스템 이후부터 급속히 확산된 국내 위치기반 서비스(LBS) 산업의 핵심 기술 분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각 관련 기업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QR코드, RFID/NFC 태그 등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플랫폼 개발에 주력하여 5G 시스템을 대비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 이 기술의 핵심은 각 송수신 IoT 디바이스의 스키마(schema)를 기반으로 각 IoT 디바이스의 스키마 요소와 대응되는 값을 검색하여 주변의 디지털기기들과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통해 인터넷 망과 상호 연결될 수 있는 점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컴퓨팅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는 상용성과 각 디바이스의 위치, 주소 등을 인식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성이 뛰어나다.
○ G20 국가 대상 사물인터넷 준비지수(G20 Internet of Things Index) 조사결과 미국이 1위, 한국이 2위에 랭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통해 새로운 사업화 모델을 모색하고자 시장에 진입하는 벤더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IoT를 글로벌화하려는 벤더들에게 유용한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 IoT 기술은 LBS 기술과 결합되면서 생활공간을 스마트하게 변화시킬 첨단 서비스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아울러 사물인터넷을 통한 지능통신(Intellectual communication)이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정보의 가치를 높이고 불확실성을 줄이는 필수 인프라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한 정보통신 페러다임의 변화는 영화에서나 이루어지던 일들이 현실세계에서도 가능하게 하는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를 제시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술은 ICT 인프라와 접목되어 기후변화, 재난/재해, 여성/어린이 보호, 에너지 절감 등 전 지구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 저자
- QUALCOMM INCORPORATE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4
- 권(호)
- WO20140131001
- 잡지명
- WO2014131001 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6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